본문 바로가기

설날 명절 제사 지내는 순서 제사상차림

노랗 2018. 10. 29.
반응형

설날 명절 제사 지내는 순서

설은 음력 정월 초하룻날로 한 해의 첫날 전후에 치루는 의례와 놀이 등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옛 기록들에 의하면 원일(元日) · 원단(元旦) · 원정(元正) · 원신(元新) · 원조(元朝) · 정조(正朝) · 세수(歲首) · 세초(歲初) · 연두(年頭) · 연수(年首) · 연시(年始)라고도 하는데 이는 대개 한 해의 첫날임을 뜻하는 말이다. 

 설은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 첫 아침을 맞는 명절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새로운 기분과 기대를 가지고 명절을 맞았다.

 

 

설날 명절 제사 지내는 순서 제사상차림
설날 명절 제사 지내는 순서 제사상차림

 

설은 음력 정월 초하루로, '아직 익숙하지 않은 날', '새해에 대한 낯섦' 이라는 의미에서 새해 첫날을 뜻한다. 한편으로는 '삼가다', '조심하여 가만히 있다'라는 의미에서 삼가고 조심하는 날인 신일(愼日)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설날 추석 제사 상차림
설날 추석 제사 상차림

 

설은 신라시대부터 기록을 찾을 수 있으며, 고려시대에는 9대 명절 중 하나로, 조선시대는 '한식',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설날 및 추석 지역별 제사상차림 및 차례 지내는 순서 - 노랗 잡동산 - 세금 부동산 절세

서울 및 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 제주도 등 각 지역의 문화와 특색이 반영된 제사상과 차례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다양한 지역별 제사상과 차례상의

yellow-realeatate.co.kr

설날이 되면 아침 일찍 일어나 설빔으로 갈아입고 집안의 웃어른에게 세배를 드리고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며. 차례를 지내고 난 뒤 친척 및 가까운 이웃어른에게 세배를 드리며 덕담을 주고받습니다.

그리고 설날 절기음식으로 떡국, 도소주(屠蘇酒), 수정과 등을 먹습니다.

 

음력설은 1896년 태양력 실시와 일제강점기 민족문화 말살정책에 의해 양력설로 대체되었으며 광복 이후에도 정부는 이중과세(二重過歲)라는 낭비성과 국제화에 역행한다는 이유를 들어 양력설을 공휴일로 지정하였지만, 국민들은 여전히 음력설을 지냈습니다.(양력설은 신정으로, 음력설은 구정이라 불렸다). 

 음력설과 양력설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다가 1985년에 음력설을 '민속의 날'로 지정하였으며 1989년에 '설날'이라는 이름을 되찾게 되고 1991년부터 3일 연휴제를 시행했습니다.

 그리고 설날에는 고향을 방문하기 위한 귀성 행렬이 기차역, 고속터미널에 이어졌습니다.

반응형

설날 제사 차례상 차림

설날 추석 제사 상차림
설날 추석 제사 상차림

 

 

1열 - 시접 (수저, 젓가락을 놓았던 그릇), 잔반 (술잔, 받침대) 등을 놓습니다.

2열 -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으로, 고기는 서쪽으로 놓습니다.

       두동미서 : 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생선의 꼬리는 서쪽으로 놓습니다.

3열 - 두부, 고기탕 등의 탕류를 놓습니다.

4열 - 좌포우혜 : 왼쪽 끝에는 포를 놓고, 오른쪽 끝에는 식혜를 놓습니다.

5열 - 조율이시 :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으로 놓습니다.

       홍동백서 : 붉은색 과일은 동쪽에 놓고, 흰 과일은 서쪽에 놓습니다.

 


차례 지내는 순서

1. 강 신

제주가 꿇어 앉아 향을 피웁니다.

집사가 술을 부어주면 제주는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을 합니다.

 

2. 참신

제주 및 참석자 모두 두 번 절을 합니다.

 

3. 현주

제주가 술을 올립니다.

일반적인 제사와 다른 점은 제주가 직접 상 위에 있는 잔에 술을 따릅니다.

 

4. 삽시정저

삽시정저란 숟가락의 바닥이 동쪽으로 가게 꽂고, 젓가락의 자루가 서쪽으로 향하도록 시접 위에 가지런히 

놓는 것을 말합니다.

 

5. 시립

제주 및 참석자 모두가 잠시 동안 공손히 서 있습니다.

 

6. 사신

수저를 거두고 뚜껑을 덮은 후 제주와 참석자 모두 두 번 절을 합니다.

지방과 축문 등을 불사르고, 신주를 썼다면 다시 모습니다.

 

7. 철상음복

상을 치우고 음식을 나누어 먹습니다.

 

설날 제사상 전라도 제사상차림 제사지내는 순서

전라도 제사상 제사상차림 제사지내는 순서 전라도 지역 관할 구역 목포 목포부 각국 거류지 일원, 부내면 내양동, 신창동, 연치동 일부, 남교동 일부, 북교동 일부, 죽동 일부, 온금동 일부 목포

jab-guyver.co.kr

 

 

설날 제사상 경상도 제사상차림 제사지내는 순서

설날 제사상 경상도 제사상차림 제사지내는 순서 경상도식 대가족제사상은 한국의 전통 문화 중 하나로, 가족들이 모여 선조들을 기리고 경의를 표하는 의례입니다. 이 의례는 상차림을 포함한

jab-guyver.co.kr

Q&A

 

  • Q: 설날 제사 지내는 순서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요?
    • A: 설날 제사는 조상들을 기리고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로, 각 순서마다 조상에 대한 경의와 감사의 마음을 표현합니다. 순서에 따른 제물 배치와 절차는 조상과의 교감을 중시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문화에서 비롯되었습니다.
  • Q: 제사상에는 어떤 음식들이 올라가나요?
    • A: 제사상에는 주로 고기, 생선, 과일, 떡, 술 등이 올라갑니다. 각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특히 고기는 동쪽, 생선은 서쪽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외에도 조리된 탕류와 술, 과일을 포함해 다양한 제물이 준비됩니다.
  • Q: 설날에 왜 떡국을 먹나요?
    • A: 떡국은 새해를 맞이하여 한 살 더 먹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떡국의 흰색은 순수함과 새로운 시작을 상징합니다. 떡국을 먹음으로써 무사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 Q: 지역별 제사상 차림은 어떻게 다른가요?
    • A: 지역에 따라 제사상의 구성이나 음식의 종류에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라도 지역은 해산물을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경상도에서는 육류를 중심으로 한 상차림이 일반적입니다. 각 지역의 문화와 식재료의 접근성이 제사상에 반영되곤 합니다.
  • Q: 음력 설과 양력 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A: 음력 설(구정)은 전통적으로 한국에서 음력 정월 초하루를 기념하는 날입니다. 양력 설(신정)은 국제적으로 널리 채택된 양력 1월 1일을 말합니다. 음력 설은 민속의 날로 지정되어 3일간의 연휴를 보내며, 고향을 방문하고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전통이 있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