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및 공휴일 항공권 예매취소 및 환불 수수료
주말 및 공휴일 항공권 예매취소 및 환불 수수료
겨울의 끝자락, 연말연시의 분주함과 아이들의 방학철이 겹치는 이 시기, 여행을 계획하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미처 예상치 못한 개인 사정으로 인해 항공권을 취소하게 될 경우, 손해를 보게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제는 그런 고민을 덜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온라인으로 해외여행 항공권을 구매하고, 여행사 영업시간 이후에도 당일 취소가 가능해져 수수료 부담이 줄어들 전망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2일 8개 국내 주요 여행사가 사용하는 국제선 항공권 온라인 판매 약관을 심사하였습니다.
그 결과, 영업시간 외 취소업무처리 불가 조항, 환급정산금 지연 반환 조항 등 불공정약관이 발견되어 이를 시정하였음을 밝혔습니다.

항공권의 유통은 항공사의 직접판매와 여행사를 통한 간접판매로 이루어지며, 이중 여행사를 통한 판매 금액은 2023년 기준 10조 2천억 원으로 우리나라 전체 매출액의 약 60~7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여행사를 통한 항공권 판매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공정거래위원회의 이번 조치는 많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인터파크트리플 약관 : 주말 · 공휴일은 정상 업무가 없어 당일 취소 불가
- 하나투어 약관 : 항공권 취소는 발권 당일 17시 전까지 요청 시 가능
- 주중 업무시간 9~17시 내 신청 건만 가능. 익일 이후 환불 접수)
- 온라인투어 약관 : 환불 접수 가능 시간-영업일(평일 09:00~17:00, 주말/공휴일 제외)만 가능
- 환불접수시간 불공정 약관 조항-환불 영업일에만 가능(평일-9시~17시)
- 마이리얼트립 약관 : 접수일이 아닌 처리일 기준의 항공사 패널티 발생
- 모두투어 약관 : 영업일 이외에 취소 요청 시 환불은 다음 영업일에 접수
- 노랑풍선 약관 : 환불 완료되는 시점은 요청한 후 영업일 기준 최대 90일 이내
항공권 불공정약관 관련하여 주요 피해 및 사례로는 주말 · 공휴일, 평일 오후 5시 이후 등 영업시간 외에 국제선 항공권 판매는 하면서, 구매 취소 업무는 하지 않는다는 조항이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고객이 취소 의사를 표시한 날보다 실제 취소 처리를 하는 날이 늦춰지면서, 불필요한 취소수수료를 내거나 추가로 부담할 수 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공정위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업시간 외에 당일 취소 및 24시간 내 취소를 제한하는 조항을 부당한 약관으로 봤습니다.
따라서 여행사에 시정요청을 하였고, 여행사들은 이를 반영해 항공사의 취소 수수료가 부과되지 않도록 시정하였습니다.


이번 조치를 받은 국내 주요 여행사 8곳은 ㈜노랑풍선, ㈜마이리얼트립, ㈜모두투어네트워크, ㈜온라인투어, ㈜인터파크트리플, 참좋은여행㈜, ㈜타이드스퀘어, ㈜하나투어입니다.
이들 여행사는 영업시간 외에 취소‧환불 처리업무를 제한하는 조항과 환급정산금을 지연하여 반환하는 조항 등의 불공정약관을 시정하였습니다.

코로나19 이후 해외여행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여행사를 통해 온라인 항공권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불만이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2023년 상반기 인천공항에서 국제선 항공편을 이용해 출국한 인원은 1,215만 명으로, 전년 동기 출국 인원(194만 명)의 624.5%이었습니다. 이는 항공권 관련 피해구제 신청이 증가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보여집니다.
2022년 1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항공권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2,576건이었습니다.
이 중 여행사를 통해 항공권을 구매해 피해를 입은 경우는 64%(1,643건)이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항공권 구매와 관련된 불공정약관이 소비자들에게 얼마나 큰 불편과 피해를 줄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정거래위원회의 이번 조치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FAQ
주말이나 공휴일에 항공권 취소 요청하면 당일 취소가 적용되나요?
예전에는 여행사 영업시간 외(주말, 공휴일, 평일 17시 이후)에는 취소 처리가 지연되어 항공사 패널티가 부과되는 일이 많았지만, 최근 공정거래위원회 시정 조치 이후에는 취소 의사 표시 시간 기준으로 수수료를 산정하게 되었습니다.
즉, 주말이나 공휴일에도 홈페이지나 앱으로 취소 요청만 하면, 실제 처리와 무관하게 해당 시점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항공권을 출발 24시간 전에 취소하면 수수료가 없다고 들었는데 사실인가요?
대부분의 항공사는 출발 24시간 이전 취소 시 위약금 없이 전액 환불이 가능한 조건을 가지고 있지만, 여행사를 통해 구매한 경우에는 여행사 자체 수수료 정책이 추가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약 플랫폼별 약관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이제는 이 기준이 영업시간과 무관하게 ‘취소 요청 시점’ 기준으로 통일되어 더 유리해졌습니다.
항공권 취소는 앱이나 이메일로 해도 효력이 있나요?
네. 홈페이지, 모바일 앱, 이메일 등 공식적인 방식으로 취소 요청을 남기면 ‘의사표시’로 인정됩니다.
특히 주말이나 밤늦게 취소할 경우, 다음 영업일 처리되더라도 취소 접수 시간 기준으로 수수료가 적용됩니다.
단, 전화 통화 기록이나 캡처 등 증거자료를 남겨두는 것이 좋습니다.
여행사 고객센터가 닫힌 상태에서 취소하면 어떻게 되나요?
이전에는 고객센터 운영시간 외 취소는 접수가 불가능했지만, 시정 조치 이후에는 24시간 자동 접수 시스템이 강화되었고, 취소 버튼만 눌러도 접수가 인정됩니다.
단, 항공사 규정에 따라 별도의 페널티가 존재할 수 있어 사전 확인은 필수입니다.
여행사에서 항공권 환불 처리 기간이 너무 오래 걸리면 어떻게 하나요?
시정된 약관에 따르면 항공권 환불은 정산일 기준 7~10일 내 지급이 원칙입니다.
단, 일부 항공사의 결제 시스템에 따라 영업일 기준 최대 90일까지 소요될 수 있는 예외 조항도 여전히 존재합니다. 일정 기간이 지나도 환불되지 않는다면 공정거래위원회 또는 소비자원에 피해 신고가 가능합니다.
항공권 구매 시 주의해야 할 불공정 약관 예시는?
- 주말/공휴일에는 환불 불가
- 영업시간 외 요청은 다음 영업일 처리
- 취소일이 아닌 처리일 기준으로 수수료 부과
이런 약관은 현재 대부분 시정되었으나, 일부 중소 여행사나 해외 예약 사이트에서는 여전히 적용될 수 있으므로 항상 약관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온라인으로 예약한 항공권도 취소 수수료 면제 대상이 되나요?
네. 예약 채널이 온라인이든 오프라인이든, ‘취소 의사 표시 시간’ 기준으로 처리됩니다.
온라인 예약 플랫폼에서는 24시간 이내 취소가 수수료 없이 가능하거나, 취소 버튼이 자동 반영되므로 편리합니다. 단, 항공권 종류에 따라 비환불 항공권은 예외입니다.
여행사와 항공사 수수료 기준이 다르면 어떤 게 우선되나요?
항공사 자체 규정보다 여행사 수수료 규정이 우선 적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항공사가 무료 취소 대상이라도 여행사 자체 서비스 수수료를 부과할 수 있으니, 구매 전 반드시 취소·환불 정책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공권을 부분만 취소하거나 변경하면 수수료는 어떻게 되나요?
왕복 항공권 중 한 구간만 취소하는 경우에도 전체 항공권 규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부 항공권은 일방향 변경이 불가하거나 더 높은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항공권을 예약할 때 변경 조건이 유연한 요금제를 선택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제주항공 비행기 티켓 환불 및 취소 수수료 정리
무안공항 사고 함께 알아보는 제주항공 비행기 티켓 환불 및 취소 수수료 정리최근 무안공항에서 제주항공 비행기의 착륙 사고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다행히 큰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갑작스
jab-guyver.co.kr
'건강 세금 > 일상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말 토요일 도시가스 설치 가능할까? 전출예약 비용안내 (0) | 2025.04.09 |
---|---|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주말 교도소 면회 가능할까? (0) | 2025.04.09 |
서울시티투어버스 완전정복! 코스, 요금, 이용 팁 (4) | 2025.04.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