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세금/직장인 세금

K패스 삼성페이 연동 교통카드 발급방법

노랗 2024. 6. 18. 15:14
반응형

0123456

K패스 삼성페이 연동 교통카드 발급방법

최근 20일 만에 120만 명이 넘는 가입자를 기록한 K패스는 현재 가장 핫한 교통카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K패스는 휴대폰으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교통카드로, 적립된 교통비를 환급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번에는 삼성페이와의 연동 가능 여부에 대해 새롭게 다뤄보려 합니다.

목차

  1. K패스 발급 대상 및 혜택
  2. K패스 발급 방법
  3. K패스와 삼성페이 연동 가능 여부

1. K패스 발급 대상 및 혜택

K패스는 만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본인 명의의 휴대폰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단, 발급 가능 여부는 거주하는 지역의 참여 여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시군구에서 K패스 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특정 지역(강원, 전남, 전북, 경북)에서도 일부 지역은 참여 가능합니다.

K패스는 버스, 지하철 뿐만 아니라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 다양한 교통수단에서 적립 및 환급이 가능합니다.

성인은 20%의 적립률을, 청년은 30%, 저소득층(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최대 53%까지 적립할 수 있으며 월 60회까지 적립이 가능하며,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환급이 가능합니다.

 

K패스 교통카드 발급 신청 및 지하철 구간 정리

K패스 교통카드 발급 신청 및 지하철 구간 정리K패스 지하철 정기권 발급 방법 및 혜택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보겠습니다. 2024년 5월부터 시행되는 K패스 카드

jab-guyver.co.kr

적립률: 일반인 20%, 청년 30%, 저소득층 53.3%까지 환급 가능합니다.

신한카드 하나카드 우리카드 현대카드
삼성카드 BC카드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티머니 이동의즐거움 DGB유페이

추가 혜택: 신한카드, 하나카드, 우리카드 등 다양한 카드사에서 추가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2. K패스 발급 방법

기존의 알뜰교통카드사업을 대체한 K패스는 휴대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급받습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던 분들은 K패스 앱으로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으며, 신규 가입자는 실물카드 발급 후 앱을 통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카드 등록 후 본인 인증과 주소지 검증을 거쳐 가입을 완료합니다. 저는 예를 들어 K뱅크 체크카드로 발급받아 사용 중입니다.

3. K패스와 삼성페이 연동 가능 여부

K패스를 삼성페이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카드는 다양합니다.

국민, 농협, 기업은행, BC, 삼성, 신한, 우리카드 등 대다수의 카드사는 삼성페이 지

원을 하고 있어, 이들 카드를 이용하여 삼성페이로 K패스를 결제할 수 있습니다.

 

  • 삼성페이 앱 열기: 먼저 스마트폰에 설치된 삼성페이 앱을 엽니다.
  • 카드 등록: 삼성페이 앱에서 메인 화면 하단의 "카드 등록" 버튼을 클릭합니다.
  • 교통카드 추가: 카드 등록 후 나타나는 화면에서 "교통카드 추가"를 선택합니다.
  • 티머니 교통카드 선택: 다음으로, 나열된 교통카드 목록 중에서 "티머니 교통카드 추가"를 클릭합니다.
  • K패스 등록: 나타나는 검색창에 "K패스"를 입력하고 검색합니다.
  • K패스 카드 선택: 검색 결과에서 나오는 K패스 카드를 선택하여 추가합니다.
  • 카드 등록 및 인증: K패스 카드를 선택하면, 추가 설정을 위해 본인 인증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 때, K패스 앱에서 제공하는 본인 인증 절차를 따라 진행합니다.
  • 등록 완료: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삼성페이에 K패스가 등록됩니다.

이제 삼성페이 앱을 통해 K패스로 대중교통 이용 시 결제할 수 있습니다.

 

삼성페이 앱에서 간단히 티머니 교통카드 추가를 통해 K패스 삼성페이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기존에 삼성페이로 교통카드를 등록했던 경험이 있는 분들은 쉽게 사용할 수 있을겁니다.

 

K패스 기후동행카드 차이점? 알뜰교통카드 활용 Tip

K패스 기후동행카드 차이점? 알뜰교통카드 활용 Tip 대중교통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거의 모든 사람들이 한 번쯤은 이용해 보았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그 안에 숨겨져 있는 여러 정책이

jab-guyver.co.kr

참고로 K패스와 함께 기후동행카드 비교해보고 자신에게 맞는 대중교통 카드로 선택하느것을 추천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