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자전거 리뷰

w/kg와 VO₂max로 본 나의 한계, 달리기와 자전거 훈련기록

노랗 2025. 2. 25. 10:08
반응형

🚴‍♂️ 자전거와 달리기 데이터로 나를 이해하기 🏃‍♀️

최근 자전거와 달리기를 병행하면서, 운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퍼포먼스를 분석하는 재미에 푹 빠졌습니다. 자전거를 타면서 FTP(Functional Threshold Power), w/kg(체중 대비 파워) 같은 수치를 신경 쓰다 보니, 자연스럽게 달리기에도 이런 지표들을 적용해보고 싶어졌죠.

특히 Intervals.icuStryd 같은 분석 도구 덕분에 자전거와 달리기 데이터를 비교하며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게 되었습니다.

w/kg와 VO₂max로 한계 역치훈련 달리기 자전거

우선 러닝 파워, w/kg, VO₂max 등을 활용하여 달리기와 자전거의 퍼포먼스를 심층적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또한, 보급 전략칼로리 계산법까지 함께 다루어, 장거리 운동 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1️⃣ Intervals.icu와 Critical Speed로 보는 나의 달리기 퍼포먼스

Intervals.icu는 자전거뿐 아니라 달리기 데이터도 분석할 수 있는 훌륭한 무료 툴입니다. 다양한 활동(자전거, 달리기, 수영 등)을 기록하고, 페이스, 심박수, 파워, 그리고 Critical Speed(임계 속도) 같은 핵심 지표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달리기 평균기록 - 5km 10km 하프 풀코스 마라톤 시간기록

달리기 평균기록 - 5km 10km 하프 풀코스 마라톤 시간기록마라톤. 단어만 들어도 가슴이 두근거리는 이 달리기 대회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도전하는 운동

jab-guyver.co.kr

Critical Speed지속 가능한 최대 속도를 의미합니다. 이 속도는 이론상으로는 피로 없이 무한히 유지할 수 있는 페이스를 뜻하지만, 실제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 내 현재 Critical Speed와 예상 기록

Intervals.icu에 따르면, 현재 제 Critical Speed5:28/km입니다.

이를 기반으로 예상 가능한 레이스 기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거리 예상 페이스 예상 기록
5K 5:28/km 27:20
10K 5:28/km 54:40
Half 5:28/km 1:55:20
Full 5:28/km 3:50:40

📝 Tip: Critical Speed는 운동 강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지표로, 인터벌 훈련이나 장거리 달리기 계획 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론적인 수치실제 수행 능력은 다릅니다. 자전거에서 쌓은 유산소 능력을 맹신해 무리하게 달리면, 발목, 무릎 등 하체 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근육의 적응력부상 방지를 고려한 훈련 계획이 필요합니다.


2️⃣ 러닝 파워와 w/kg: 퍼포먼스를 재는 새로운 척도

러닝 파워(Running Power)는 달리기의 효율성을 수치로 나타내는 메트릭입니다. Stryd 같은 러닝 파워미터를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자전거의 파워미터와 비슷한 개념이죠.

⚖️ 왜 w/kg가 중요한가?

w/kg(와트/체중)은 퍼포먼스를 측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표입니다. 달리기와 자전거 모두 이 수치를 통해 체중 대비 파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자전거: 바람 저항, 경사도 등의 변수가 크지만, 파워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효율적인 페이싱이 가능합니다.
  • 달리기: 중력 방향으로의 상하 움직임이 크기 때문에, 체중이 퍼포먼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예시:

  • 60kg 주자가 4w/kg으로 달리려면 → 240와트 필요
  • 90kg 주자는 같은 4w/kg을 위해 → 360와트 필요

달리기에서는 체중이 가벼울수록 유리합니다. 중력의 영향을 덜 받으면서도, 같은 w/kg으로 더 나은 기록을 낼 수 있기 때문이죠.

 

러닝 마라톤 젖산 역치훈련이란? 근육통 및 훈련방법

러닝 마라톤 젖산 역치훈련이란? 근육통 및 훈련방법러닝 마라톤에서 젖산 역치와 근육통 역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를 이해하면 러닝 효율성을 높이고 피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

jab-guyver.co.kr

3️⃣ VO₂max와 w/kg 퍼포먼스의 심층 분석

VO₂max는 최대 산소 섭취량을 의미하며, 운동 수행 능력을 나타내는 핵심 지표입니다.

 

스트라바 파워미터 최대파워 심박수 V02MAX 역치 훈련설정

스트라바 파워미터 최대파워 심박수 V02MAX 역치 훈련설정 싸이클링, 러닝, 수영 등의 스포츠 활동을 즐기시는 분들 중에는 가민(Garmin)이나 순토(Suunto)와 같은 전문적인 기기를 통해 운동 데이터

jab-guyver.co.kr

단위는 mL/(kg∙min)로, 체중당 산소 소비량을 나타냅니다. 이 값이 높을수록 유산소 능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선수 체중(kg) VO₂max (mL/kg∙min) 절대 산소 섭취량 (L/min)
에간 베르날 60 91 5.5
Rob Waddell 103 85 8.5

💡 포인트

  • 경량 선수(에간 베르날)는 산소 활용 효율이 높아 업힐 레이스달리기에서 유리합니다.
  • 중량급 선수(Rob Waddell)는 절대 산소 소비량이 높지만, 중력의 영향을 크게 받는 종목에서는 불리할 수 있습니다.

  • w/kg 기준선: 4.0 w/kg
  • 예시 체중: 50kg, 60kg, 70kg, 80kg, 90kg
  • 계산식: 체중 × w/kg = 절대 파워(W)
체중 (kg) w/kg 절대 파워 (W)
50 4.0 200
60 4.0 240
70 4.0 280
80 4.0 320
90 4.0 360

4️⃣ 칼로리 계산과 보급 전략 장거리 훈련의 핵심

러닝 파워를 활용하면, 운동 중 칼로리 소모량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보급 전략을 세울 수 있죠.

🔥 파워 기반 칼로리 계산법

  1. 파워 → 칼로리 변환
    • 인간 신체의 에너지 효율은 약 24%로 알려져 있습니다.
    • 100와트360Cal/h (단순 계산법)
    • 200와트720Cal/h
    • 3시간 동안 200와트 유지 → 2,160Cal 소모
  2. 보급 전략
    장거리 달리기에서 글리코겐 고갈을 막기 위해 시간당 60~90g의 탄수화물 섭취가 필요합니다.
시간 탄수화물 (g) 칼로리 (Cal) 소디움 (mg) 물 섭취량 (ml)
1h 75g 300Cal 600mg 500ml
2h 75g 300Cal 600mg 500ml
3h 75g 300Cal 600mg 500ml

💡 보급 전략 팁

  • 탄수화물: 시간당 60~90g (말토덱스트린, 프럭토스 등)
  • 소디움: 시간당 500~1500mg (소금, 스포츠 음료 등)
  • 수분: 시간당 500~750ml

5️⃣ 자전거와 달리기 퍼포먼스 비교 w/kg와 VO₂max의 시너지

자전거와 달리기는 서로 다른 운동처럼 보이지만, w/kgVO₂max라는 공통의 메트릭을 공유합니다.

  • 자전거: 바람 저항, 업힐/다운힐 등 환경적 요인이 큽니다.
  • 달리기: 체중과 중력의 영향을 직접 받습니다.

📊 사이클링과 러닝 w/kg 비교

구분 w/kg (자전거) w/kg (달리기) VO₂max (mL/kg∙min)
엘리트 선수 6.0+ 6.5+ 85~95
상급 동호인 4.5~5.5 5.0~5.5 70~80
일반 동호인 3.0~4.0 3.5~4.5 55~65

💡 인사이트

  • w/kg 수치가 비슷할 경우, 달리기에서 더 높은 VO₂max가 필요합니다.
  • 자전거에서는 바람 저항과 구름 저항을 고려해야 하므로, 파워 유지가 더 중요합니다.
 

콜리무어 FTP 테스트 및 20분 FTP 테스트 비교

콜리무어 FTP 테스트 및 20분 FTP 테스트 비교FTP(Functional Threshold Power)는 "한 시간 동안 지속할 수 있는 최대 평균 파워"를 의미합니다. 이는 자전거 훈련의 핵심 지표로, 훈련 계획, 페이스 전

jab-guyver.co.kr

6️⃣ 결론 데이터를 통해 나를 이해하다

러닝 파워, w/kg, VO₂max를 활용하면 자전거와 달리기 퍼포먼스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훈련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죠.

  • 달리기: 체중 관리 + 효율적인 페이싱 → 기록 향상
  • 자전거: FTP 향상 + w/kg 개선 → 업힐 및 평지 퍼포먼스 향상
  • 보급 전략: 칼로리와 소디움 계산으로 장거리 운동 대비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