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 하드디스크 인식이 안될때 파티션 설정 - SSD 인식오류 포함

노랗 2025. 2. 1.
반응형

새 하드디스크 인식이 안될때 파티션 설정 - SSD 인식오류 포함

보통 노트북의 경우 하드디스크를 추가하는 일이 흔치 않지만 데스크탑 PC 컴퓨터의 경우 사용하면서 용량이 부족한 경우 간편하게 하드디스크나 SSD를 추가 구입 후 컴퓨터에  장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처음 하드디스크 및 SSD등을 장착을 했다면 컴퓨터 부팅 후 하드디스크가 인식이 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새 하드디스크 인식이 안될때 SSD 인식오류 노트북 & 컴퓨터

그 이유는 하드디스크에 정상적으로 꼽혔지만 하드디스크의 용량등 파티션이 설정되지 않았기 때문인데요 그럴경우 윈도우에서 손쉽게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 제가 구입한 하드디스크는 씨게이트 바라쿠다의 하드디스크 장착 및 상세설명은 아래포스팅을 참고하세요

 

하드디스크 SSD 장착 설치 방법 씨게이트 4TB

하드디스크 SSD 장착 설치 씨게이트 바라쿠다 4TB 이번에 하드디스크 용량이 부족해서 4TB의 씨게이트 바라쿠다 ST4000DM004 모델을 구입했습니다. 5400RPM이지만 전송속도가 190M/s 에 인터페이스는 Sata

jab-guyver.co.kr

 

윈도우10 하드디스크 파티션 설정

하드디스크를 삽입했느데 내컴퓨터에 들어가면 보는것과 같이 가득찬 하드디스크만 보이고 새로 구입한 HDD는 인식되지 않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드디스크 파티션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윈도우 좌측하단의 시작메뉴를 마우스 우클릭 후 디스크 관리로 들어갑니다.

 

 

아니면 실행 메뉴에서 "diskmgmt.msc" 라고 단축 명령어를 눌러줘도 됩니다.

 

디스크 관리 디스크 초기화
디스크 관리 디스크 초기화

 

새 하드디스크를 장착해서 그런지 디스크관리를 실행하면 자동적으로 디스크 초기화 창이 활성화됩니다.

디스크를 선택 후 Gpt (GUID 파티션 테이블) 로 선택 후 확인을 눌러줍니다.

그럼 보는것과 같이 3726.01gb로 4tb의 하드디스크가 표시되지만 활당되지 않은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할당되지 않은 드라이브를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 -> 새 단숨 볼륨 선택합니다.

 활당되지 않음 단순 볼륨 만들기 마법사

 

마법사로 간단하게 볼륨을 설정해보겠습니다.

 

 

총 용량중에서 혹시 하드드라이브를 나누어 사용하고 싶다면 나누고 싶은 용량을 입력합니다.

 

나누지 않고 하나의 드라이브로 사용하고 싶다면 그대로 두고 다음을 눌러줍니다.

 

 

기본적으로 현재 적용되지 않은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을 받습니다.

 

만약 다른 드라이브 문자를 사용하고 싶다면 보기와 같이 선택 후 다음을 눌러줍니다.

 

 

새 하드드라이브이기 대문에 기본적으로 포맷을 해야합니다.

 

 

파일 시스템은 NTFS 로 설정하고 드라이브 이름을 설정하고 싶다면 볼륨 레이블에 이름을 작성합니다.

 

 

이것으로 하드디스크 볼륨 마법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보는것과 같이 할당되지 않은 드라이브가 사라졌습니다.

 

 

내컴퓨터에도 아까 생성한 Data Backup 이라는 볼륨으로 E드라이브에 추가되었습니다.

만약 이렇게 해도 하드디스크 및 SSD 인식되지 않는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하드디스크 인식불가 바이오스 SATA 방식 변경

컴퓨터에서 윈도우 설치 시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는다면 메인보드 바이오스 설정에서 바이오스 설정을 SATA 케이블 방식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1. 컴퓨터 및 노트북 부팅 시 [Del] 또는 [F2] 키를 눌러 바이오스로 진입합니다.
  1. 바이오스가 실행되었다면 [F7] 키를 눌러 Advance Mode로 진입합니다.
  2. [Advanced] - [SATA Configuration] 탭에서 첫 번째 "SATA Mode Selection"이 AHCI로 설정합니다.
  3.  변경사항을 저장하고 컴퓨터를 재시작합니다

하드디스크 인식불가 바이오스 부팅 방식 변경

위 SATA 방식을 변경했거나 현재 HDD를 사용 중인데 디스크 인식이 여전히 안된다면 부팅 방식을 설정해볼 수 있습니다.

  1.  바이오스로 진입한 뒤 [F8] 키를 눌러 Boot Menu로 진입합니다.
  2. [Boot] - [Boot Mode]에서 만약 "Legacy"로 되어 있다면 "Disabled"로 변경합니다.

이후 저장 후 재부팅하면 하드디스크가 인식됩니다.

디스크 파티션 삭제 후 재생성

바이오스로 디스크 인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면 디스크의 파티션을 모두 삭제한 뒤 다시 만드는 방법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윈도우를 설치할 때 "디스크에 Windows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문구가 나왔다면 윈도우 설치 화면에서 [Shift] + [F10] 버튼을 같이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그다음 아래의 명령어를 차례로 한 개씩 입력 후 엔터를 클릭합니다.

diskpart (입력 후 엔터)
List Disk (입력 후 엔터)

위의 List Disk 입력 후 나온 디스크 목록 중에서 윈도우를 설치할 디스크 번호를 기억합니다. 만약 디스크 1번에 설치할 생각이라면, 아래의 명령어를 순서대로 입력하고 엔터 버튼을 누릅니다.

Select Disk 1 (Disk 1에 윈도우를 설치하는 예시)
Clean (mbr 파티션을 삭제)
convert gpt (mbr 파티션을 gpt 파티션으로 전환)
Exit

마지막으로 "DiskPart에서 선택한 디스크를 GPT 형식으로 변환했습니다." 문구가 나오고 "Exit"를 입력 후 명령 프롬프트를 종료합니다. 그 뒤로 다시 윈도우 설치를 시도합니다.

칩셋 드라이버 다운로드로 디스크 인식

CPU 칩셋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해 디스크 인식 불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본인 PC에 맞는 칩셋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한 뒤 부팅 usb에 옮긴 뒤 윈도우 설치 시에 표시되는 "설치할 드라이버 선택" 항목에서 "드라이버 로드"를 선택해 인식합니다.

윈도우 설치 시 드라이브 인식 안되는 경우 참고

 

윈도우11, 10 설치 드라이브를 찾을 수 없습니다. - Dcre Yellow

윈도우11 윈도우10 설치 시 설치 드라이브를 찾을 수 없습니다 설치할 파티션 드라이버를 선택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크게 2가지 의심 컴퓨터 노트북의 SSD 및 HDD 제대로 장치가 인

decreyellow.co.kr

씨게이트 바라쿠다 ST4000DM004 성능

그럼 이번에 구입한 씨게이트 바라쿠다 ST4000DM004 제품의 성능은 어떨까요?

 

삼성의 SSD 매직안 프로그램으로 성능을 테스트해보겠습니다.

제가 현재 사용중인 삼성 850 PRO 의 경우 읽기 쓰기 속도가 확실히 빠릅니다.

그렇다면 현재 장착중인 하드디스크와 비교해보겠습니다.

 

 

WD10EURX-63UY4Y0 웨스턴사의 1TB 하드디스크입니다.

7200RPM임에도 불구하고 메모리가 떨어지고 노후된 하드디스크라 읽기 쓰기 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는걸 볼수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HD103SJ 모델또한 오래전 모델로 32MB의 7200RPM 제품입니다.

그리고 이번에 새로 구입한 ST4000DM004제품은 5400RPM의 회전속도지만 256M제품으로 읽기 쓰기 속도 모두 월등히 높은것을 볼 수 있습니다.

새 하드디스크 인식 및 파티션 설정 FAQ

1. 새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새 하드디스크는 초기화 및 파티션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기본적으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디스크 관리에서 초기화 및 파티션 설정이 필요합니다.

2. 하드디스크를 초기화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Windows 디스크 관리 열기
    • 시작 메뉴 우클릭 > 디스크 관리(Disk Management) 선택.
    • 또는 실행 창(Win + R)에서 diskmgmt.msc 입력 후 Enter.
  2. 초기화되지 않은 디스크를 선택 > GPT(권장) 또는 MBR로 초기화.
  3. 할당되지 않은 공간에 우클릭 > "새 단순 볼륨" 선택.
  4. 마법사를 따라 볼륨 크기, 드라이브 문자, 파일 시스템 설정(NTFS 추천) 후 완료.

3. BIOS에서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을 때는?

  • SATA 모드 확인: BIOS에서 SATA 모드가 AHCI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Legacy 또는 IDE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면 AHCI로 변경해야 합니다.
  • 부팅 모드 변경: Boot Mode가 "Legacy"로 설정되어 있다면 "UEFI"로 변경 후 저장하고 재부팅.

4. 하드디스크가 디스크 관리에서 보이지 않을 때 해결 방법은?

  • 케이블 연결 확인: 데이터 케이블(SATA)과 전원 케이블이 올바르게 연결되었는지 확인하세요.
  • BIOS 설정 확인: BIOS에서 하드디스크가 인식되고 있는지 확인하세요.
  • 드라이버 설치: 제조사 웹사이트에서 칩셋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후 설치.

5. 하드디스크 또는 SSD가 윈도우 설치 중 인식되지 않을 때는?

  • 디스크 초기화:
    디스크 관리에서 디스크를 초기화하거나 명령 프롬프트에서 diskpart 명령어를 사용해 GPT 또는 MBR로 변환합니다.
  • 칩셋 드라이버 로드: 윈도우 설치 화면에서 "드라이버 로드" 옵션을 선택해 USB에 저장된 칩셋 드라이버를 불러옵니다.

6. 파티션을 잘못 설정했거나 삭제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하나요?

  1. 디스크 관리에서 해당 파티션을 우클릭 > "볼륨 삭제".
  2. 할당되지 않은 공간으로 표시된 후 다시 "새 단순 볼륨"을 생성.

7. SSD가 속도 저하를 일으킬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AHCI 모드 설정: BIOS에서 SATA 모드를 AHCI로 변경하세요.
  • TRIM 명령 활성화: 명령 프롬프트에서 fsutil behavior query DisableDeleteNotify를 입력해 0으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세요.
  • 펌웨어 업데이트: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SSD 관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펌웨어를 업데이트합니다.

8. 윈도우 설치 중 "드라이브를 찾을 수 없습니다" 메시지가 뜨면 어떻게 하나요?

  1. USB 부팅 디스크를 사용해 설치를 진행하는 경우 칩셋 드라이버를 USB에 포함시키세요.
  2. diskpart를 실행해 디스크를 초기화 및 GPT로 변환 후 재시도.

9. 새 하드디스크를 데이터 백업용으로 사용하려면 어떤 포맷을 선택해야 하나요?

  • NTFS: 대용량 파일 저장 및 윈도우 환경에서의 호환성을 위해 추천.
  • exFAT: 윈도우와 MacOS 간 호환이 필요한 경우 적합.

10. 노트북에서 추가 SSD/HDD 장착 시 주의사항은?

  • 슬롯 확인: 노트북에 추가 저장장치를 위한 슬롯(SATA, M.2 등)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호환성 확인: SSD 또는 HDD가 노트북의 인터페이스와 호환되는지 확인하세요.
  • 전원 관리: 저장장치 장착 후 BIOS나 운영체제에서 전원 관리 설정을 확인하세요. 필요 시 절전 모드를 비활성화합니다.

기존 하드디스크 스펙상 파일 읽기 쓰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속도 또한 190MB/s 이기 때문에 가격가 성능 모두 만족스러운 부분으로 노트북에서 HDD 추가하긴 쉽지 않지만 오래 된 컴퓨터를 사용한다면 SSD와 함께 데이터 백업용으로 3세대 하드디스크를 구입해보느것을 추천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